[짠테크] 출퇴근 지하철/전철 교통비 아끼기! 정기승차권 구매부터 소득공제까지(feat. 토스/카카오뱅크 체크카드) (인천-강남 구간 가격)

2022. 3. 7. 23:46경제적 자유를 위하여/짠테크 일기

안녕하세요.

전철 이용 10년이 넘는 고인물이지만 정기승차권은 처음 사보는 남놈입니다.

 

교통카드 혜택 주는 신용카드도 많고, 광역 알뜰 교통카드도 있지만,

출퇴근 시 오직 '지하철/전철'만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단연 정기승차권이죠!

 

저는 뒤늦게 짠태크에 눈을 뜨면서

그러려니~ 나가고 있던 교통비도 절약해보고자 정기승차권을 구매해보았습니다.

 

1. 구매 장소

2. 구매하는 법(★현금지참★)

3. 충전하는 법(교통카드 가격, 구간별 충전금액)- 사진 有

4. 실제 절약 금액

5. 소득공제 신청하는 법(홈택스, 손택스)

이 순서로 틈틈이 꿀팁을 끼워 넣어 소개해드릴게요.

 

1. 구매 장소 - 역무실에 용기 내어 들어가기(친절함 주의)

어느 지하철 역이나 역무실이 있을 거예요.

저는 1년 넘게 다닌 부평역 역무실이 어딘지 몰라서 한 바퀴 둘러보았더니, 고깃집 맞은편 안쪽에 있더라구요.

 

용기 내어 들어가면 아주아주 친절하게 "승차권 사러 오셨어요~?? ^^" 라며 맞이해주십니다. 

정기승차권 검색해볼 때 역무실 직원분들이 매우 친절하다는 후기를 본 적이 있는데,

정말이더라구요 ㅋㅋㅋㅋㅋ

충전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리겠다고 하셔서 충전소까지 쫄래쫄래 따라갔습니다.

(혼자 할 수 있었겠지만.. 직장에서 늘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서비스를 받으려니 좋더라구요 ㅎㅎ;;)

 

겁내지 말고 문을 열어보세요!

 

2. 구매방법 - ★현금★ 수수료 없이 ATM 출금하기(토스/카카오뱅크 체크카드)

요즘 누가 현금 들고 다니나요? 라지만

정기권 실물카드는 2,500원★현금★으로 구매해야 하고,

정기권 충전도 ★현금★으로 해야 합니다.

 

다행히도 웬만한 역에는 수수료가 아주 비싼 ATM들이 하나씩 있기 마련인데요.

이럴 때 요긴하게 쓰이는 게 바로 토스/카카오뱅크 체크카드입니다.

 

어느 에이티엠에서 출금해도 수수료가 0원! 공짜! 빵원! 광고아님!

덕분에 저는 미리 주거래 은행 ATM으로 현금을 준비하지 못했지만

아주 편리하게 바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었습니다.

 

착오로 현금을 만 원 모자라게 뽑아서 더 인출해야 했었는데,

수수료가 없으니 아무런 부담이 되지 않아 좋았습니다.

 

3. 충전하는 법 - 시작일자 설정하기(3일 후까지), 역 검색하기

 

① 구매한 승차권을 충전하는 곳에 올려놓습니다.

 

후불 교통카드를 쓰다가 정말 오랜만에 교통카드를 직접 충전해본다.
이런 문구에 겁내지 말고 확인을 누르면 된다.

② 충전 버튼을 누릅니다.

③시작 날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퇴근길에 구매했으니 오늘인 22.3.7. 월요일은 넘기고,

22.3.8. 화요일부터 시작하려고 보니 22.3.9. 수요일이 대선 날짜라 출근하지 않으니 아깝고,

22.3.10. 목요일부터 시작하면 만기일이 22.4.8. 금요일이라 딱 좋겠더라구요.

 

시작 날짜가 최대 22.3.10.까지 미뤄지는 걸 보니, 3일 후까지 시작날짜 설정이 가능해요.

 

22.4.8. 금요일까지 쓰고 나면, 주말에 산책 나갈 겸 미리 충전하고 시작 날짜도 월요일로 설정하면 좋을 것 같아요.

평일 아침에 급해 죽겠는데, 갑자기 정기권 다 써서 교통비 쌩으로 다 주고 타게 된다면... 아찔.....

④ 역명 검색을 누릅니다.

역무원님 손가락 ㅋㅋㅋㅋ 블로그에 올리려고 사진찍는다니까 못찍은 부분 때문에 뒤로가기도 눌러주심 (친절보스)

역무원님 손가락은 노선검색 위에 있지만, 역명검색을 눌러줍니다!

 

출발역은 설정이 되어있고, 도착역에 노란 글씨가 켜져 있으므로 '자음'만 누르면 쉽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⑤ 내가 고른 역까지의 구간에 따른 요금이 뜨면, 현금으로 충전을 해줍니다.

 

⑥ 앞으로 한 달 교통비 걱정은 끝!

7만원 인출 - 승차권 2,500원 - 충전 65,500원 = 2,000원

 

내가 사면 구간 금액이 얼마나 나올지 궁금하시죠?
저는 인천에서 강남구로 출근하는데 4단계가 나왔어요.
참고해주세요!

 

 

 

 

4. 실제 절약 금액 - 이번 달 기준 11,500원

 

그래서, 얼마나 절약하냐구요?

실제 승차권 시작일인 22.3.10.부터 22.4.8. 까지로 계산해볼게요.

출근일 22일
일반 교통카드 (1,750원*왕복2회)×22일 = 77,000원
정기승차권 65,500원
77,000원 - 65,500원 = 11,500원

Wow....

저도 지금 작성하면서 처음 알았거든요...?

진짜 많이 절약되네요 ㅠㅠ 진작 쓸걸 나새끼..

 

지하철로만 출퇴근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분도 빠짐없이 정기승차권 썼으면....

 

5.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신청하기(국세청 홈택스, 손택스 어플!)

 

승차권에 쓰여있어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카드번호 등록 시 현금영수증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라고.

매달 나가는 교통비 소득공제까지 받을 수 있으니, 정기승차권 진작 사용하지 않은 나새끼 반성해..

 

<인터넷 브라우저(홈택스)로 접속하는 경우>

① 국세청홈택스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미리 로그인을 한다. 

② 신청/제출 탭을 클릭한다.

③ 현금영수증 전용카드 신청/등록을 클릭한다.

 

④ 전용카드 등 등록하기를 클릭!

 

직접 입력해줍니다.

 

<핸드폰 어플(손택스)로 접속하는 경우>

① 손택스 어플 설치/ 접속한다. 미리 로그인한다.

②조회, 발급 탭 → 현금영수증 수정 및 발급 수단 → 현금영수증 소비자 발급 수단 관리

③ 직접 입력 탭에서 입력해줍니다.

 

 

모두모두 어차피 하는 출퇴근 절약하며 합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